본문 바로가기
스페인어/스페인어 낱말 바루기

스페인의 대문짝넙치 rodaballo

by brasero 2023. 11. 17.

북대서양과 지중해에 서식하는 대문짝넙치 rodaballo(로다바요)는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선 인기 횟감이라고 한다. 유럽에서 수입을 하지 않을 것이고 양식한 대문짝넙치일 테지만 맛이 아주 좋다고 한다. 스페인에서는 슈퍼마켓 어물전에 얼음 이불을 깔고 둥글 큼직하게 떡 누워 있다.  

스페인 슈퍼마켓 메르까도나의 대문짝넙치, 1kg 13.50유로 -생대구, 돔, 민대구, 농어보다 비싸다

rodaballo의 어원은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AE)은 모른다고 했지만(아래 De or. inc.) 켈트어 '둥근 몸체(rotoballos)'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Joan Coromines의 <스페인어 어원사전 Diccionario crítico etimológico de la lengua castellana> 1991).

DRAE는 rodaballo를 "배지느러미가 가슴 앞이나 아래에 있는 경골어류(anacanto)이며, 살은 아주 가치가 뛰어나고, 길이는 80cm이고 폭이 크게는 1m까지 이를 수 있고, 몸이 납작하고 비대칭이며, 아래쪽(눈이 붙은 면의 뒷면- 무안면)은 희고 미끈하지만, 위쪽(눈이 있는 면- 유안면)은 이주 억센 회색빛 청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비늘 표면은 작은 혹처럼 오돌오돌하다(tuberculosas), 머리는 작고, 눈은 왼쪽에 붙어 있고, 등지느러미(aleta dorsal)는 몸길이만큼 길고 꼬리지느러미는 둥그스름하다(casi redonda)"고 정의했다. 

DRAE rodaballo 대문짝넙치
대문짝넙치는 anacanto 어류 - 붉은 원의 배지느러미가 가슴 아래나 밑에 있다

rodaballo는 아래 DEA 사전에서 보듯 Scophtalmus과에 속하는 물고기다(마누엘 세꼬 Manuel Seco의 '실재스페인어사전 'DEA Diccionario del español actual). 스코옵탈무스 Scophtalmus는 그리스어 σκοπός(목표, 표적 감시, 스파이, 지켜봄) + ὀφθαλμός (눈), 즉 눈으로 주위를 살펴보는 물고기라는 뜻이다. 광어(넙치)나 가자미류 물고기는 바닥게 붙어 살기 때문에 모두 한쪽으로 쏠린 눈으로 여기저기를 보는데 유독 대문짝넙치만 이런 학명을 부여받았다.

DEA 사전의 대문짝넙치 정의 - DEA 사전은 왕립학술원의 DRAE사전에는 없는 생물의 학명을 제공한다.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은 rodaballo를 '가자미'라고 번역했다. 

가자미는 가자미 목(orden)이나 가자미 과(familia)에 속하는 물고기를 두루 이르는 말이다. 가자미목 아래 도다리(platija), 넙치(lenguado arenero), 사점박이넙치(gallo), 서대(lengua), 혀가자미(lenguado), 대문짝넙치(rodaballo) 따위가 있다. 이  모두를 두루뭉술하게 '가자미'라고 부를 수 있지만 고유한 이름으로 번역해야 한다. '개목'에 속한 곰, 족제비, 스컹크, 물개, 물범, 바다코끼리를 모두 '개'라고 번역하지 않고 '국화목'에 속하는 예를 들어, 해바라기, 민들레, 곰취, 쑥부쟁이, 금잔화, 머위, 개망초, 과꽃, 백일홍, 방가지똥, 상추, 우엉, 구절초, 쇠채, 곤달비, 쑥, 수레국화, 지칭개, 치커리, 조밥나물, 엉겅퀴, 데이지, 감국, 씀바귀, 쑥갓, 돼지풀, 모시대,  왕잔대, 도라지, 초롱꽃, 숫잔대, 더덕, 만삼, 금강초롱꽃, 조름나물,어리연꽃 따위를 모두'국화'라고 하지 않듯 말이다.

가자미목 하위분류 - 위키백과

rodaballo는 영어로 turbot이다. 그래서 '대문짝넙치' 대신 '터봇'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고,  광어(넙치) 보다 찰지다고 해서 '찰광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옥스퍼드 영한사전, turbot 대문짝넙치라는 종 이름 대신 광범위한 과의 이름 '넙치' 또는 '가자미라고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