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인어/스페인어 낱말 바루기

성직자 칼라 alzacuello 로만 칼라 cuello romano

by brasero 2023. 11. 6.

성직자 칼라는 신부의 수단*이나 목사의 상의에 목을 감싸는 빳빳한 깃(칼라)으로 스페인어로 alzacuello이다. 'alzar(높이다) cuello(목)'이란 뜻의 두 단어가 결합된 낱말이다. 천주교(가톨릭)의 '성직가 칼라'는 cuello roman(로만 칼라)라고 한다. 

*수단(sotana): 가톨릭 성직자가 제의(casulla 까수야) 밑에 받쳐 입거나 평상복으로 입는발목까지 오는  . 우리말의 외래어 '수단'은 프랑스어의 soutane에서 유래했다. 수단은 영어로 카속(cassock)이다. 

alzacuello 성직자 칼라, cuello romano 로만 칼라
수단과 로만 칼라를 착용한 천주교 신부

alzacuello는 옛날 갑옷의 목과 가슴 상단을 보호하는 프랑스어 hausse-col(오스콜, 목가리개)인데, 이 '오스콜'은 네덜란드어 halskote(목에 걸치는 옷)이란 낱말에서 유래했다 (아래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 DRAE 참조).

DRAE alzacuello 1. 성직자 정장에 목을 감싸는 딱딱한 재료나 옷감으로 만든 띠

 

프랑스어 hausse-col 갑옷 목가리개

영어본 위키백과와 이를 번역한 우리말 위키백과에 따르면 성직자 칼라는 18세기부터 있었고 19세기 스코틀랜드의 장로교 성직자가 고안한 것이라 했지만 스페인에서는 16세기부터 평민이나 성직자가 사용했다.

성직자 칼라를 가톨릭사전은 '로만 칼라'로 설명하고 있다.

가톨릭사전 로만 칼라

성직자 칼라를 '우리말샘' 사전은 '클레리컬 칼라(clerical collar)'라고 순화하지 않은 채 등재했다.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은 alzacuello를 '정장용 가슴 장식품'으로 오역했다.  가슴 장식품은 보통 가슴 부분을 꾸밀 목적으로 보석이나 구슬 따위를 꿰어 만든 장식품으로 '가슴 꾸미개'라 한다. 통번역 시 사전의 오류에 유념하길 바란다.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 alzacuello 오역

아래는 '21세기 스페인어코퍼스'(CORPES, 2001년부터 2021년까지 작성된 문서 - 소설, 신문, 블로그 글 등 - 약 3억 단어로 구성된 스페인과 중남미 스페인어 말뭉치 )에서 검색한 alzacuello의 사용 현황이다. 사제나 신부(sacerdote, cura)나 성직자의 옷, 수단(sotana)이란 단어와 함께 쓰인 예이다. 

  • ...se puso la sotana, la más nueva, que su hermana había recién planchado, y se subió el alzacuello un poquito con un dedo y se miró al espejo y se sintió delgado de repente. 수단을 입고, 가장 새것을, 그의 누이가 최근에 다려놓은 수단을 입고 손가락으로 로만 칼라를 조금 올리더니 거울에 모습을 비춰보고 갑자기 살이 빠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Pombo, Álvaro: Una ventana al norte Barcelona: Anagrama, 2004)
  • Del despacho salió un sacerdote anciano, encorvado, con sotana y alzacuello. Cerró despacio la puerta tras de . Murmuró unas palabras antes de empezar a caminar.  서재에서 늙은 사제가 나왔다, 구부정하고, 성직자 칼라가 있는 수단을 입었다. 뒤쪽에 있는 문을 천천히 닫았다. 몇 마디 중얼거리더니 걷기 시작했다. (Fernández García, César: El e-mail del mal. Madrid: Alfaguara, 2007)
  • ...cuanto estuvieron todos acomodados, el cura se tocó el alzacuello, luego se alisó un poco la sotana, se acercó al micrófono y rogó silencio. 모두 편안하게 자리를 잡자 신부로만 칼라를 만지작거리고 수단을 조금 반듯하게 하고 마이크에 다가와서 정숙을 요구했다.  (González Moreno, Pedro A.: Los puentes rotos. Madrid: Calambur,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