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엣센스 서한사전 생물102

표범과 재규어 같은 고양잇과 동물 오실롯 ocelote ocelote[오셀로떼]는 중남미에 서식하는 표범과 재규어와 유사한 고양잇과 동물 '오실롯'이다. 오실롯은 남미의 아스텍족 나와틀어의 '재규어'를 뜻하는 ocelotl에서 유래했다. 영어로 ocelot라고 한다. 한국어로 '오실롯'이다.  '오셀롯', '오셀렛', '오셀로뜨'가 아니다.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ocelote를 "몸길이가 1.5 m 가량되고 털은 노란색이고 검은 줄과 물방울 같은 무늬(lunar)가 있고 꼬리는 검은색과 흰색의 고리가 있는 아메리카의 고양잇과 동물이다. 애리조나에서 아르헨티나 북부까지 서식한다"라고 했다. 동의어는 tigrillo, maracayá, manigordo이다. 사실 중남미 국가마다 명칭이 다르다.ocelote - 아르헨티나, 멕시코, 페루, 칠.. 2024. 3. 31.
스페인과 한국의 스라소니 lince lince[린세]는 고양잇과의 동물 스라소니이다. lince란 낱말은 '빛'이란 뜻의 그리스어 λύγξ에 기원이 있는 라틴어 lynx에서 유래했다. 스라소니의 눈이 번쩍이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lince를 "불그스름한 털에 검은 얼룩이 있고, 꼬리가 짧고, 뾰족한 귀에는 검은 털이 있는 고양잇과 포유류"라고 정의했다. 귀의 털은 안테나 같은 역할을 해서 토끼 같은 먹이를 쉽게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스라소니는 눈빛이 날카롭기 때문에 비유적으로 2번의 눈매가 매섭거나 날카로운 사람이나 3번처럼 기민하고 재빠른 사람을 뜻한다. 네이버 스페인어사전과  엣센스 서한사전은 lince를 '살쾡이(삵)'으로 오역했다.한편, 네이버 스페인어사전과 엣센스 한서사전은 스라소니를.. 2024. 3. 31.
스페인 들고양이 gato montés, gato silvestre, gato salvaje gato montés[가또 몬떼스]는 문자 그대로 '고양이 산들'인데 들고양이(학명 Felis silvestris)이다. 집에 키우는 집고양이(gato doméstico)가 가출해 산이나 들에서 야생화된 길고양이(gato cimarrón)인 들고양이가 아니라 야생 고양이 종이다. 들고양이 Felis silvetris / gato montés, gato silvestre, gato salvaje / wildcat길고양이, 야생화된 집고양이 Felis silvestris catus / gato cimarrón, gato callejero, gato feral, gato asilvestrado / feral cat, stray cat, street cat, alley cat, community cat, fre.. 2024. 3. 30.
분홍가슴비둘기 zurita, stock dove zurita[수리따]는 zuru에 축소 의미 접미사 ita가 합성된 단어로 분홍가슴비둘기이다. zuru는 의성어 zur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zur는 우웁 우웁 우웁 하고 우는 분홍가슴비둘기의 소리를 형상화한 말이다. zurita는 다른 말로 paloma zurita인데, zurita 대신 zorita, zura, zurana라고 한다.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zurita를 "부리 끝에서 꼬리 끝까지의 몸길이가 34cm이고, 날개폭이 68cm이고, 깃은 청색이 비치는 회색이고, 목에 번쩍이는 녹색 무늬가 있고 가슴은 보라색이고, 날개는 얼룩이 있고 날개 자장자리는 검고, 부리는 노랗고, 다리는 검붉다. 에스빠냐에 아주 흔하고 숲에 사는 비둘기의 하나"라고 묘사했다. 네이버(엣센스) 스페.. 2024. 3. 23.
오목눈이 mito 눈이 오목하고 꼬리가 아주 긴 작은 새 우리나라와 스페인의 텃새인 오목눈이는 오목한 눈 때문에 이름이 유래했다. 몸길이가 14cm 정도인데 꼬리가 7~9cm가 되는 새다. 그래서 영어 이름은 long-tailed tit(꼬리가 긴 단추 tit, tit은 박새류를 가리키는 통칭)라고 한다. 스페인어로는 mito[미또]라고 하는데, 왜 mito라고 하는지 뿌리는 알 수 없다. mito는 '신화' 또는 '신화 같은 것' '가공의 이야기'라는 뜻인데, 작고 귀여운 외모를 도저히 믿을 수 없어 mito라고 부르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mito를 "깃이 흰색, 검은색, 분홍색이고 검고 흰 꼬리가 매우 길고 숲에서 살며 봉지 모양의 아주 특이한 둥지를 트는 참새목 박샛과에 속한 조류"라고 정의했다. 오목눈이는 오목눈.. 2024. 3. 18.
홍방울새와 유럽홍방울새 비교 pardillo norteño vs pardillo común 진홍색 모자를 쓴 홍방울새는 우리나라에 드물게 찾아오는 겨울철새이고 스페인에서도 정말 보기 힘든 나그네새로 1997년까지 딱 세 번 관찰된 적이 있다. 서식지가 아주 추운 유라시아와 북미 북부이기 때문인데, 가끔 겨울에 남하하는 녀석들을 만날 수 있다.   홍방울새, 학명 Acanthis flammea, 스페인어 pardillo norteño, 영어 common redpoll, 엣센스(네이버) 스페인어사전은 camachuelo(멋쟁이새, 양진이)를 '홍방울새'로 오역유럽홍방울새, 학명 Linaria cannabina, 스페인어 pardillo común, 영어 common linnet언뜻 보면 홍발울새와 스페인의 텃새인 유럽홍방울새를 혼동할 수 있다. 유럽홍방울새는 홍방울새와 다르게 가슴과 배와 날개 아.. 2024.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