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오류13

국화과 식물 뜻풀이 수정 (1)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의 국화과 식물의 뜻풀이를 수정했다. 의미가 수정된 낱말은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AE)에 등재된 것이다. DRAE에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으나 네스(엣스)에 누락된 단어는 '미등재'라고 표기했다. 학명과 명칭을 위해서 한국 국립생물자원관, 표준국어대사전, 스페인왕립식물원 Anthos, 이베리아 식물(Flora iberica), 안달루시아 식물(Florandalucia), 영국왕립식물원 Kew,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세계식물목록(The Plant List), 위키백과 등을 참조했다. 속 명칭의 알파벳 순으로 제시했다.스페인어 명칭  네스 뜻풀이 → 뜻풀이 수정 학명 영어 명칭agérato 미등재 → 유럽톱풀 Achillea ageratum sweet Nan.. 2024. 10. 12.
벼과 식물 뜻풀이 수정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의 볏과 식물의 뜻풀이를 수정했다. 의미가 수정된 낱말은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AE)에 등재된 것이다. DRAE에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으나 네스(엣스)에 누락된 단어는 미등재라고 표기했다. 학명과 명칭을 위해서 한국 국립생물자원관, 표준국어대사전, 스페인왕립식물원 Anthos, 영국왕립식물원,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안달루시아식물(Florandalucia), 위키백과 등을 참조했다. 속 명칭의 알파벳 순으로 제시했다. 스페인어 명칭, 네스 뜻풀이 → 뜻풀이 수정, 학명 -설명rompesacos  이삭이 타원형인 보리  →  염소풀 Aegilops cylindrica - 스페인에는 우리나라의 염소풀 Aegilops cylindrica를 포함하며 6종이 자생.. 2024. 10. 12.
구주개밀 grama del norte 개밀이 아니다 구주개밀은 볏과 갯보리속의 식물로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의 귀화식물이다. 여러해살이풀로 길가나 공터에서 쉽게 볼 수 있다. https://www.florandalucia.es/index.php/elytrigia-repens-subsp-repens흔한 잡초처럼 보이지만, 서양에서는 예부터 약으로 사용했다. 신장염과 호흡기 질환 등에 약효가 있고 커피나 맥주의 풍미를 더하는 재료로 활용했다. 유럽평의회에서는 대체 식량으로 지정한 식물이다.아래는 구주개밀의 약리효과에 대한 두 책의 내용과 구주개밀 건강보조제이다."구주개밀(학명 Elymus repens)는 예부터 호흡기 질환에 사용했다. 호흡기 감염과 기관지염에 약효가 있다."  Jame A. Duke 저 1998. 97쪽 Steven Foster와 Chri.. 2024. 10. 3.
호밀풀 ballico 독보리가 아니다 호밀풀은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의 귀화식물로 길가나 농경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벼과 호밀풀속(또는 쥐보리속)의 한해살이풀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잡초이지만 가축의 풀 사료나 잔디 대용으로 쓰이는 유익한 식물이기도 하다. ▶스페인 보리밭에 잡초 호밀풀(ballico) 불평 쇼츠 영상 - 제거 비용이 비싸고 보리보다 크게 자라 보리의 적이다.▶호밀풀(reygrass, ray grass)은 공원이나 운동장과 골프 코스에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이다는 광고https://cityfloralgreenhouse.com/product/karma-perennial-ryegrass/▶우리나라 호밀풀 사진여왕벌이 사는 집 https://qweenbee.tistory.com/8897876 호밀풀(벼과 호밀풀속)2015... 2024. 10. 3.
독말풀 estramonio 산사나무가 아니다 독말풀은 열대 아시아 산으로 우리나라의 귀화식물이다. 가짓과의 독말풀은 서양에서 예부터 가짓과의 다른 독성 식물, 사리풀, 맨드레이크, 벨라도나와 함께 독약이나 마약을 제조하는 필수 재료이었다. 독이 있는 식물은 모두 약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독말풀은 진통제나 수면제이기도 하다.▶ 스페인의 독말풀 - 마드리드시 근교 비야비시오사 데 오돈  Villaviciosa de Odón의  자연림공원 Parque El Forestal독말풀(학명 Datura Stramonium)은 스페인어로  estramonio라고 한다(영어 thornapple, 또는 독초이기 때문에 '악마의 트럼펫' devil's trumpet).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식물의 외양을 묘사하기보다는 "아토르핀과 히오시미나.. 2024. 10. 2.
사리풀 beleño 싸리나무가 아니다 가짓과의 사리풀은 유럽 원산으로 섬망과 환각 성분이 있다. 가짓과 식물에 들어 있는 트로판 알칼로이드과 스코플라민 등의 독성 물질이 있어 서양에서 예부터 '마녀의 풀'이라고 하거나 강령술이나 악령을 소환하는 강마 의식에 쓰였고, 마취제, 진통제, 멀미약 등의 의학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다.그래서 사리풀,이란 말의 유래는 알 수 없지만, 독성이 있어 먹으면 사리를 분간하지 못하는 풀이거나 사람을 죽이는 '살인풀'에서 와전되어 사리풀이라고 부른 지도 모른다. 사리풀은 우리나라에서는 약용으로 재배하다가 야생화되었다고 하나, 인터넷에서 우리나라에서 관찰한 사리풀은 잘 보이지 않고 대신 몽골, 백두산, 중국 연변에서 본 것이 올라와 있다(아래 링크 참조).해송의 우리자연,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 2024.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