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인어/스페인어 낱말 바루기82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오류 - comer el coco '세뇌하다'를 '아첨하다'로 오역 comer el coco a alguien은 중남미에서 사용하지 않지만 스페인의 관용구로 '세뇌하다'란 뜻입니다. coco는 코코넛이지만 머리 cabeza를 의미하는 구어입니다. 누구의 머리를 먹는 것 (comer)은 아래 DRAE (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 2014, 23판)의 풀이처럼 "어떤 일을 하게끔 타인의 생각으로 사람의 사고를 바꾸도록 계속 유도하는" 행위 즉 '세뇌하다' 또는 '설득하다'라는 뜻입니다. 콜린스 서영사전은 "텔레비전은 그들을 세뇌했다 la tele les ha comido el coco"라는 예문으로 뜻을 풀이했고 영어로 brainwashed라고 했습니다. 또한 brainwash 대신 'go on about 쉬지 않고 말하다'라는 구동사로 풀어서 설명했습니다. 옥스퍼드 서서사전.. 2021. 10. 13.
스페인의 'breva 브레바 무화과'는 한국의 '굴러온 호박' 스페인에도 우리처럼 무화과 higuera 나무가 있고 가을이면 슈퍼나 시장에 무화과 higo가 있습니다. 하지만 늦은 봄이나 이른 여름에 무화과가 보이는데 사실은 'higo, 이고 무화과'가 아니라 'breva, 브레바 무화과'입니다. (냉장 시설 덕분에 계절에 상관없이 두 종류의 무화과를 사시사철 구매할 수 있습니다.)봄에 싹이 나와 여름을 나고 9월이나 10월에 수확하는 '이고 무화과'보다 껍질이 얇고 더 큰 '브레바 무화과'는 겨울을 지나 봄에 나와 오월에 익어 여름에 수확하는 무화과입니다. 이렇게 두 번 열매를 맺는 무화과나무가 있지만 어떤 무화과나무에 무화과는 가을에 성장을 멈춰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이 되면 왕성하게 자라 결실을 맺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면 생각하지도 못한 무화과 열매가 떡하니.. 2021. 10. 9.
'오금 corva'를 corvo로 오역한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국립국어원 한국어-스페인어 학습사전 오금은 무릎 관절 안쪽의 오목한 부분으로 '뒷무릎'이라 한다. 한자어로 슬와 膝窩 (무릎 슬에 움집 와) 또는 곡추 曲䐐 (굽은 곡에 오금 추)라고 한다. 오금이란 낱말은 확대되어 '팔오금'은 아래팔과 위팔을 이어주는 뼈마디의 안쪽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고 한오금, 밭은오금, 먼오금은 활의 구성 요소의 명칭으로 쓰인다. 오금은 또한 여러 비유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를테면 오금을 펴다, 오금을 박다, 오금을 지리다, 오금을 떼다, 오금이 굳다, 오금이 묶이다, 오금이 붙다, 오금을 못 쓰다, 오금이 쑤시다, 오금이 뜨다, 오금을 걸다, 오금에 돌개바람이 들다 따위의 관용구로 쓰이는 생산성이 높은 단어이다. 오금을 스페인이라면 왕립학술원인 우리나라의 국립국어원이 편찬한 '한국어스페인어 학습사전'(이하 국한스).. 2021. 10. 6.
엣센스/네이버 스페인어사전의 관용구와 비유 표현 번역 우리말과 스페인어의 비유(속담과 관용구)를 비교하는 이전 글에 사례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왕립학술원이 편찬한 스페인어사전 (DRAE 2014, 23판)에 실린 관용구와 CVC(세르반테스센터 사이트의 속담)과 표준국어대사전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 등재된 관용구와 속담을 대조하며,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을 참조하여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관용구와 속담이 많아 주제별로 접근을 하고 있는데, 요즈음은 신체 부위 관련 관용구와 속담을 대조 분석한 결과를 덧붙이고 있습니다. 두 언어 간 신체 관련 비유나 은유를 대조하거나 비교한 연구는 많습니다. 하지만 외국어 사전에 비유나 관용구가 어떻게 번역되어 있는지에 대한 조사는 없습니다. DRAE를 번역한 엣센스/네이버 스페인어사전은 스페인어 관용구를 우리말의 .. 2021. 10. 5.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오류 - 형용사 terne '의협심이 강한'으로 오역 형용사 terne는 스페인 집시의 말 (젊다 terno)에서 유래한 낱말로 스페인 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 DRAE(2014, 23판)이 풀이하고 있듯 "1. 잘생기거나 용감하다고 으스대는 2. 고집스러운 3. 건장한"이란 뜻이다. 형용사. 구어. 용감하거(꺽지거*)나 잘생겼다고 se jacta (으스대는, 뽐내는, 떨트리는**, 허풍을 떠는, 광치는, 떠죽대는, 엄벙대는, 대포를 놓는) *꺽지다: 성격이 억세고 꿋꿋하고 용감하다. **떨트리다: 거만하게 뽐내다 형용사. 구어. 고집 센, 강퍅한, 코가 센, 완고한, 피근피근한 형용사. 구어. 센, 강한, 건장한, 꺽센 DRAE는 terne가 용맹스럽지 않은 사람이 자존망대하게 코를 높여 용감하고 꺽지다고 자만하는 것이거나 잘생기지 않은 사람이 미남 또는 .. 2021. 9. 21.
마드리드 시의 문장- 곰과 우네도딸기나무 madroño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 Madrid 시의 문장에는 곰과 딸기나무가 있다. 딸기나무는 이베리아 반도에 자생하는 나무의 열매가 딸기와 비슷해서 생긴 이름이고 분류학상 '우네도딸기나무 madroño'라고 한다. 학명이 'Arbutus unedo 아르부투스 우네도'인 madroño는 진달래목, 진달래과 (ericaceae), 딸기나무아과 (arbutoideae) 딸기나무속에 속한다. 영어로 strawberry tree라고 하는 이 나무의 노랗고 붉은 열매는 먹을 수 있다. 스페인 왕립학술원의 스페인어사전 DRAE(2014, 23판)는 madroño를 아래같이 풀이했다. 남성명사. 진달래과 ericasea에 속하는 관목으로 키가 서너 미터되고 잎이..... 2-3 센티미터 열매는 식용이고 겉은 붉고 안은 노란색이.. 2021.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