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인어/스페인어 낱말 바루기

참나무와 가시나무 roble y encina - 유럽떡갈나무와 지중해가시나무

by brasero 2023. 12. 17.

참나무는 식물의 종 명칭이 아니라 참나무목의 참나뭇과에 속하는 나무들을 아우르는 말이다. 참나뭇과에는 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 참나무속 등에 속한 927종의 나무가 있고(Chistenhusz & Bying, 2016), 그중 참나무속에 속한 나무는 약 500종이다. 그러면 참나무라고 부를 수 있는 나무는 500가지가 있다는 말이다.

극동 지역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에 사는 참나무 종은 떡갈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졸갈참나무, 갈졸참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돌참나무), 떡신갈나무, 청갈참나무, 떡갈졸참나무 등의 낙엽활엽수가 있고, 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졸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넓은잎참가시나무, 붉가시나무 등의 상록활엽수가 있다.

가을에 잎이 지면 '참나무'란 말이 있는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졸갈참나무, 떡갈졸참나무, 갈졸참나무이든지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라 하고, 가을에 잎이 지지 않고 늘 푸른 잎의 참나무속 나무는 주로 한반도 남쪽에 서식하는데,  '참나무'라고 하지 않고 '가시나무'라고 한다. 낙엽성이든 상록성이든 도토리가 달린다.

가시나무 하면 찔레꽃처럼 뾰족한 가시가 있는 나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참나무속에 도토리가 달리는 늘푸른 나무이다. '가시나무'는 '떤다'는 뜻의 한자어 歌舒木(가서목)이 어원이라는 주장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고, '도토리'를 제주 방언으로 '가시'라고 하는 것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아래 표준국어대사전과 서귀포신문 참조).

가시 - 표준국어대사전
서귀포신문 2020.11.20 '제주어의 유래와 가치를 밝히다' 기사에서 석주명 제주어 연구자의 연구 소개 - '가시'는 도토리의 제주 방언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참나무와 가시나무류의 참나무의 차이점은 가을에 잎이 지느냐 안 지느냐에 달려 있다. 스페인에 서식하는 참나무속의 나무, roble와 encina도 이런 차이가 있다.

roble(영어 oak)는 학명이 Quercus robur로 스페인 북부, 프랑스, 독일, 영국, 북유럽 전체와 이탈리아 북부, 동유럽에 서식하는 유럽의 갈잎큰키나무이다. roble는 우리나라의 떡갈나무(학명 Quercus dentata)와 유사하다. 가을이면 잎이 지고, 잎은 떡갈나무처럼 둥그스럼하게 굴곡이 있는 귓불 같고 줄기 모양과 높이도 떡갈나무와 비슷하다. 하지만 도토리 모양은 다르다. Quercus robur의 도토리는 떡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의 도토리처럼 털이 없고 졸참나무의 도토리와 유사하다.

Quercus robur(사진 위키백과)
우리나라 참나무 잎과 도토리 차이 (사진 K 헤리티지 뉴스)

이런 roble를 편하게 '떡갈나무'라고 번역할 수 있으나 유럽 원산이기 때문에 '유럽참나무' 또는 '유럽떡갈나무'라고 구분이 필요하다. 아니면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참나무 Quercus rubra를 국립생물자원관은 '루브라참나무'라고 부르는 것처럼 roble는 학명을 따서 '로부르참나무'라고 명명할 수 있다.

국가생명다양성센터 북미의 루브라참나무

encina(학명, Quercus ilex, 영어로 evergreen oak 늘 푸른 참나무)는 로부르참나무과 다르고, 우리나라의 가시나무처럼 가을에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활엽수로 스페인 전역에 서식하는 참나무속의 나무이다. 

encina는 유럽떡갈나무보다 키가 작고 잎은 진한 초록색 타원형으로 길쭉하게 뾰족하고 가끔 가시가 있고 아주 단단하고 잎 뒷면은 희다. 꽃은 유럽떡갈나무처럼 녹황색이고 도토리 모양도 유사하다(아래 DRAE 참조).

encina 잎과 도토리
encina 잎과 도토리

우리나라의 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개가시나무, 붉가시나무 등은 encina처럼 상록활엽수이디. 특히 개가시나무의 잎은 encina의 잎과 유사하다 (아래 링크 참조). 

개가시나무 잎과 도토리 (사진 제주매일, 김대신 연구사)

https://www.jeju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742

 

‘도토리와 목재’ 생사 넘어 한없이 베푸는 나무 - 제주매일

가시딸기에는 가시가 있지만 가시나무에는 가시가 없다? 처음 식물을 접하는 이들에게는 발음이 같아 오해할 수 있는데, 가시나무의 "가시"는 이름 그대로 콕콕 찌르는 가시를 의미하는 것이 아

www.jejumaeil.net

encina는 상록활엽수란 생물학적 특성이 떡갈나무보다 가시나무와 유사하다. 서식지가 스페인을 비롯한 지중해 연안이기 때문에 '지중해가시나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지중해'란 낱말 때문에 지중해 연안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오해를 조장할 수 있으니 '남유럽가시나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프리카 북부를 제외하게 된다. 차라리 학명의 ilex 발음을 차용해  '일렉스가시나무'라고 할 수 있다 (ilex는 그리스어로 '목재'라는 뜻이다. 참나무는 내구성이 좋아 쓰임새가 좋다).

encina 서식지 스페인, 프랑스 일부, 이탈리아, 아프리카북부, 그릭스 해안 (사진 위키백과)

enicina(지중해가시나무)를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은 '떡갈나무'라고 번역했다. roble도 '떡갈나무'라고 했다. 같은 부모 아래 태어난 쌍둥이라도 이름이 다른데 동일한 참나목 참나뭇과 참나무속이라도 모두 '떡갈나무'일 수는 없다. 물론 문학이나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떡갈나무'라 할 수 있지만 객관적 종의 명칭은 아니다.

지중해가시나무(encina)는 스페인을 대표하는 나무로 도토리(bellota 베요따)는 그 유명한  하몬 이베리꼬 베요따(jamon iberico bellota)를 생산한 돼지의 먹이이다. 

스페인 들판의 지중해가시나무

스페인에는 천년기념물 같이 소중한 지중해가시나무가 많다. 아라곤주의 우에스까도에는 1,100년 묵은 지중해가시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2021년 유럽 올해의 나무로 선정되었다(아래 엘 빠이스 기사).

엘 빠이스 신문,우에스까 Lecina의 지중해가시나무
위키백과; 우에스까 Lecina의 지중해가시나무

논의를 요약한다.

  • 떡갈나무, roble daimio, 학명 Quercus dentata, 극동 지역, 한국, 중국, 일본에 서식
  • 로부르참나무, 유럽참나무, roble, 학명 Quercus robur,  스페인  북부와 유럽에 서식
  • 가시나무, encina de hoja de bambú 학명 Quercus myrsinifolia, 한국 등 극동아시아에 서식
  • 지중해가시나무, 일렉스가시나무, 남유럽가시나무,  encina, 학명 Quercus ilex, 스페인 전역, 아프리카 북부, 프랑스 일부, 이탈리아 북부, 그리스 해안 등 지중해 지역에 서식

참고문헌

Christenhusz, M. J. M. & Byng, J. W. (2016).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Phytotaxa. Magnolia Press. 261 (3): 201–217. doi:10.11646/phytotaxa.26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