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인어/네이버 스페인어사전 뜻풀이 수정84

유럽개발나물 berrera 육아 당근이 아니다 산형과(미나리과)에 속하는 개발나물(Sium suave Walter, Fl. Carol)은 잎이나 꽃이나 줄기가 개의 발을 닮았을 것이고, 나물이니 식용할 수 있는 풀이다. 개발나물의 어떤 부분이 개발과 유사한지 눈을 크게 뜨고 여기저기 찾아본다. 잎은 피침형으로 길쭉하고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개발치고는 너무 길고 좁다. 하지만 서울개발나물의 줄기 아래쪽 근생엽(뿌리잎)은 세 갈래로 개의 발자국같이 생겼다.▶여왕벌이 사는 집, 티스토리- 서울개발나물의 뿌리잎, 선형의 삐쭉한 줄기잎과 다르게 뿌리잎은 개발처럼 갈라져 있고 날카롭지 않다. 서울개발나물(산형과 서울개발나물속)2014. 9. 6. 경남. 봄 날 어린 신초와 6월 성체로 자라고 있는 모습을 살펴 본 후 꽃이 피기를 기다렸다 얼마 전.. 2024. 1. 21.
유럽매자나무 agracejo 테레빈나무가 아니다 매자나무(학명 Berberis koreana Palib.)는 학국 특산종으로 갈잎 떨기나무(낙엽 관목)이다. 높이가 2m까지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린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어린 가지(2년지 年枝)는 붉거나 암갈색이다. 가지에는 잎이 변한  0.5~1cm 정도의 1~3 갈래의 가시가 있다. 잎은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는 톱니 같은 거치(鋸齒)가 있고 뒷면은 회록색이고 주름이 있다. 꽃은 5월에 노랗게 총상 꽃차례로 10~23개가 주렁주렁 달리며 열매는 장과(漿果- 포도와 감처럼 과육과 액즙이 많고 속에 한 개 이상의 씨가 들어 있는 과실)이며 어린 초록색 열매는 달걀처럼 길쭉하게 둥그스럼하고 9월에 익는 붉은 열매는 공처럼 둥글다.매자나무 열매http://www.skyspace.pe.kr/z.. 2024. 1. 16.
멀구슬나무 cinamomo - 단향목, 시나모모가 아니다 멀구슬나무(학명 Melia azedarach L.)란 이름은 이 나무의 열매가 말의 목에 매다는 구슬을 닮아서 '말구슬나무' 또는 제주도 말로 '멀쿠실낭' 또는 '멀쿠슬낭'이라고 한 것에서 유래했다. 주로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서식하며 높이가 15m에 이르는 갈잎큰키나무(낙엽교목)이다. 껍질은 세로로 갈라지고 잎은 깃꼴 겹잎이고,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나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 결각이 있다. 늦봄이나 초여름에  그윽한 향기가 풍기는 자주색 꽃이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수술은 기다란 통 모양이다. 꽃은 꿀벌에게 꿀을 제공하는 밀원이다. 푸른색 열매는 타원형 공 모양의 핵과로 9월에 황갈색으로 변하고, 새의 먹이가 되고, 겨울에도 달려 있다. 전라북도 고창군청 앞에는 유명한 천연기념물 멀구슬나무가 있고, 강진.. 2024. 1. 15.
낙우송 ahuehuete 노간주나무의 일종이 아니다 ahuehuete[아우에우에떼]는 높이가 50m 지름이 4m까지 자라는 아주 큰  북미 원산의 낙엽 교목 낙우송(落羽松)이다. 잎이 새의 깃(우 羽)처럼 생겨 가을이면 떨어지는(락 落) 소나무(송 松)를 닮은 나무이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가지가 수양버들처럼 아래로 축 늘어져 있어 비가 내리는 듯해서 비 우(雨) 자의 낙우송(落雨松)으로 착각할 수 있다.낙우송은 메타세콰이어와 유사하지만 잎이 어긋나게 달리고 구과가 크고 구과자루가 거의 없다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AE)는 ahuehuete를 생물학적 특징 - 크기, 잎 모양, 껍질, 열매 - 등을 기술하지 않고 간단하게 정의했다."어원- 중미 나와인의 언어, 나와틀어(nāhuatl)의 ahuehuetl. 측백나무(cupresáceas)과의 나.. 2024. 1. 14.
siempreviva '죽지 않는 풀' 노랑천일홍과 지중해떡쑥 siempreviva[시엠쁘레비바]를 문자 그대로 옮기면 '늘 살아 있음', '영원한 삶' 즉 '불사초'이다. 이 식물은 우리나라에 서식하지 않는 스페인과 같은 지중해 지역에 자생하거나 관상용으로 키우는 국화과 종이다. 스페인왕립식물원 식물정보체계(Anthos)에 따르면 siempreviva는 국화과(Campositae)에 속하는 학명이 Helichrysum stoechas(이명 Gnaphalium stoechas)과  Helichrysum orientale 이다. 아울러 siempreviva의 이명은 perpetua amarilla[뻬르뻬뚜아 아마리야, 문자 그대로 뜻은 영원한 황색]이다고 했다.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AE)도 siempreviva는 perpetua amarilla, siem.. 2024. 1. 11.
ojo de buey 황소의 눈은 쑥갓이다 ojo de buey[오호 데 부에이]는 문자 그래로 옮기면 '눈(ojo), ~의(de, 전치사), buey(거세한 황소)' 즉 황소의 눈이다. 우리말의 노루귀, 노루발풀처럼 동물 이름으로 식물을 명명한 것인데, 황소의 눈은 어떤 식물일까. 스페인왕립식물원 식물정보체계(Anthos)에 따르면 '황소의 눈'이라고 부르는 식물은 아래  일곱 가지 종이다.  모두 국화과의 종이다. Anacyclus radiatus는 우리나라에 서식하지 않은 아나키클루스속의 종이고, Anthemis tinctoria는  길둑개꽃속의 우리나라에 없는 종이고, Asteriscus aquaticus도 우리나라에 서식하지 않는 아스테리스쿠스속의 종이다. Chrysanthemum coronarium(Glebionis coronaria,..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