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인어/스페인어 낱말 바루기

유럽개발나물 berrera 육아 당근이 아니다

by brasero 2024. 1. 21.

산형과(미나리과)에 속하는 개발나물(Sium suave Walter, Fl. Carol)은 잎이나 꽃이나 줄기가 개의 발을 닮았을 것이고, 나물이니 식용할 수 있는 풀이다. 개발나물의 어떤 부분이 개발과 유사한지 눈을 크게 뜨고 여기저기 찾아본다. 잎은 피침형으로 길쭉하고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개발치고는 너무 길고 좁다. 하지만 서울개발나물의 줄기 아래쪽 근생엽(뿌리잎)은 세 갈래로 개의 발자국같이 생겼다.

▶여왕벌이 사는 집, 티스토리- 서울개발나물의 뿌리잎, 선형의 삐쭉한 줄기잎과 다르게 뿌리잎은 개발처럼 갈라져 있고 날카롭지 않다.

 

서울개발나물(산형과 서울개발나물속)

2014. 9. 6. 경남. 봄 날 어린 신초와 6월 성체로 자라고 있는 모습을 살펴 본 후 꽃이 피기를 기다렸다 얼마 전 부터 꽃이 핀다는 소식을 접하고는 언제 시간을 내어 보나 기회를 보아도 시간이 여

qweenbee.tistory.com

아니면 무리지어 오밀조밀 핀 흰색 꽃이 개발이 디딘 흔적과 닮아서 개발나물이란 이름이 생겼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개발나물의 꽃 (구글 이미지)

아무튼 우리나라에는 개발나물속(Sium L.)에 개발나물을 비롯한 감자개발나물, 물개발나물, 대왕개발나물, 세잎개발나물이 있고 서울개발나물(Pterygopleurum Kitag) 속의 서울개발나물이 있다. 

개발나물(Sium suave Walter)은 물가 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50~120cm이고,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엽병)  아래는 잎집(엽초 - 잎자루가 칼집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있는 것) 있다. 잎줄기는 위로 갈수록 짧다. 잎은 난형이나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7~8월에 흰색 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 겹산형꽃차례(산형꽃차례가 모여 전체 다시 산형을 이룬다)로 달린다. 

스페인과 유럽에도 우리나라 개발나물과 흡사한 Berula erecta(학명 이명 Sium erectum, Sium berlua, Sium angustiflolium) 라는 산형과 식물이 있다. 우리나라 개발나물처럼 여러해살이풀이며 습지를 좋아하는 이 식물은 흰색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Berula erecta (사진 Anthos)

Berlua erecta는 유럽과 북미와 아프리카와 중남미 일부 지역이 원산이다. 

Sium erectum (Berula erecta)의 분포도 (사진 영국왕립식물원 Kew)

스페인왕립식물원 식물정보체계(Anthos)는 Berula erecta의 여러 스페인어 명칭을 열거했다. 이 중에 berrera[베레라]만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EA)에 등재되어 있다.

Anthos berula erecta학명과 스페인어 명칭 berrera

DRAE는 berrera를 "산형과의 식물, 물가나 개울의 습지나 연못 주위에 자리고, 높이가 60~70cm이고, 줄기는 원통이고 가지가 많고 잎은 넓고 강하고 매끈하고 아름다운 녹색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복엽(줄기에 여러 장의 잎이 달려 있다)이고 흰색 꽃이 핀다"라고 정의했다. 

DRAE berrera
세밀화 Flora von Deutschland, & Ouml;sterreich und der Schweiz, Otto Wilhelm Thome Gera , 1885.
berrera (사진 Anthos)

DRAE의 뜻풀이는 높이가 우리나라 개발나물보다 낮고 잎이 넚다는 묘사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의 개발나물과 흡사하다. 스페인왕립식물원 식물정보체계가 첨부한 문서에는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berrea (Anthos 첨부 문서)

키는 우리나라 개발나물처럼 1m까지 자라고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고 했다.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 사전은 berrera를 육아 당근이라고 했다.

당근의 종류에는 신당근, 선당근, 갯당근, 산당근이 있지만 '육아 당근'이란 말은 처음 들어보았다.육아(芽)란 주아 또는 살눈(bulbillo, 영어 bulbil)이다. 식물의 변태한 곁눈의 하나로 양분을 저장하여 살이 많으며식물의 모체에서 땅에 떨어져  개체가 되는 기관이다. 우리나라의 감자개발나무에는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달려 있다.  

감자개발나물의 주아(살눈, 육아) 확인 - 여왕벌이 사는 집, 티스토리

 

감자개발나물(미나리과 개발나물속) 재조명 _ 주아의 실체 Sium ninsi L.

2022. 11. 23. 꽃동무가 물개발나물이라고 올린 자료를 확인하다가 국내의 감자개발나물 분포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다. 국립수목원 포털이나 생물종다양성 포털에는 감자개발나물은 근

qweenbee.tistory.com

그러면 육아 당근은 당근 중에  육아(주아, 살눈)가 있는 당근이란 뜻인데, berrera는 당근속(Dausus L)에 속하지도 않고 살눈이 없다.

산형과의 속한 당근도 개발나물처럼 흰꽃이 피나 잎은 개발나물과 다르게 자잘하게 갈라져 있다. 

스페인 당근  Daucus carota  subsp. carota 꽃 (사진 Anthos)
스페인 당근  Daucus carota  subsp. carota 잎 (사진 Anthos)
스페인 깐따브리아 해안의 야생 당근  Daucus carota subsp. gummifer (사진 Anthos)

berrera(Berula erecta)는 당근의 한 종이  아니라 개발나물속에 속한 유럽개발나물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식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