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인어/네이버 스페인어사전 뜻풀이 수정

pimpinela mayor 오이풀, 장미과 오이풀속

by brasero 2025. 3. 3.

장미과(Rosaceae) 오이풀속의 pimpinela mayor '오이풀'은 유럽, 북아메리카, 우리나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을 비비면 오이향 또는 수박향이 나서 오이풀이라고 하고 '수박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이풀, 사진 영국왕립식물원 Kew

☞우리나라의 오이풀, 청산별곡 TV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은 pimpinela mayor를 '큰 오이풀'로 오역했다. mayor가 '크다'란 뜻이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큰 오이풀'이라고 오해를 했다.

pimpinela mayor의 학명은 Sanguisorba officinalis이다(국립생물자원관). 오이풀은 지혈을 하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속명 Sanguisorba는 라틴어로 '피'를 뜻하는 sangui와 '멈추다'는 뜻의 sorba가 합성된 말이다.

국립생물자원관 오이풀 학명

Sanguisorba officinalis는 아래에 보다시피, 스페인 왕립식물원 Anthos에 의하면 여러 명칭으로 불리지만 주로 pimpinela mayor이라 한다.

스페인왕립식물원 오이풀의 학명와 명칭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AE)은 pimpinela mayor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pimpinela(술오이풀)와 다르게 높이가 1미터에 이르고 잎은 잎자루가 없다. 이삭 모양의 꽃은 타원형이고 양성화이고 꼴받침은 흑적색이고 열매에는 씨앗이 하나이다. 에스빠냐에 흔하고 상처 지료나 지혈제로 사용한다."

DREA는 오이풀 pimpinela mayor의 잎에 잎자루가 없다고 했으나 오류이다. 아래 사진에 보듯, 오이풀에는 짧지만 잎자루가 있다.

독일의 오이풀, 사진  peterweinreich

아래 책 <이베리아 식물>에 오이풀은 잎자루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claramente peciolulados 분명하게 잎자루 있다"라고 묘사했다. 

오이풀은 우리나를 비롯한 아시아(남아시아 제외), 유럽과 북미의 서북부가 원산지이다. 

오이풀 원산지(녹색), 보라색은 귀화식물 - 지도 영국황립식물원 Kew

☞우리나라 및 세계 각지의 오이풀, 사진 iNaturalist, GBIF

한국, 사진  onidiras-iNaturalist
영국, 사진 tonisha
미국 북서부, 사진 jareddod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