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의 십자화과(Cruciferae, 배추과 Brassicaceae) 식물의 뜻풀이를 수정했다. 의미가 수정된 낱말은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AE)에 등재된 것이다. DRAE에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으나 네스(엣스)에 누락된 단어는 미등재라고 표기했다.
학명과 명칭을 위해서 한국 국립생물자원관, 표준국어대사전, 스페인왕립식물원 Anthos, 영국왕립식물원,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이베리아식물(Flora Iberica), 안달루시아식물(Florandalucia), 세계식물목록(The Plant List), 위키백과 등을 참조했다.
속 명칭의 알파벳 순으로 제시했다.
스페인어 명칭 네스 뜻풀이 → 뜻풀이 수정 학명 영어 명칭- 설명
cardamina, mastuerzo, nastuerzo, sabelección 후추 → 꽃냉이, 매운황새냉이 Cardamine pratensis cuckoo flower, lady's smock, mayflower
씨방주머니가 길쭉한 황새 다리를 닮았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한 황새냉이속의 여러해살이 냉이이다.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 우리나라를 비롯한 온대 기후의 아시아, 유럽 북동부가 원산이다. 높이가 30 센티미터에 이르고 줄기는 똑바로 선다. 잎은 가장자리에 결각이 없다. 흰색이나 분홍색의 꽃이 5월에서 6월 동안 줄기 끝에 핀다. 식용할 수 있고 예부터 약으로 사용했다. 후추(pimienta)는 후추목 후추과 후추속에 속한 인도가 원산인 덩굴식물이다.
draba 구슬냉이 → 왕관냉이 Cardaria draba whitetop, hoary cress
우리나라에 없는 카르다리아속의 여러해살이 냉이이다. 남유럽과 서남아시아와 북아프리카가 원산이다. 높이가 80 센티미터에 이른다. 줄기 위쪽의 잎은 잎자루가 없고 얕은 톱니가 있다. 영어 명칭이 whitetop이듯 작은 흰 꽃이 무리지어 줄기 위에 핀다. 꽃잎이 꽃받침보다 두 배 크다.
긴 수술 6개는 밑으로 늘어진 꽃잎 위쪽으로 돌출되어 왕관처럼 짧은 암술을 둘러싸고 있어서 '왕관냉이'라고 명명해 보았다.
네스는 draba를 '구슬냉이'라고 오역했다. 구슬냉이는 '구슬갯냉이(학명 Rorippa globosa)'라고도 하며 개갓냉이속에 속하고, 스페인에 자생하지 않는 종이다.
coclearia (십자화과의) 약초(藥草) → 숟가락냉이 Cochearia officinalis common scurvygrass, scurvy grass
속의 명칭 cochlearia는 숟가락의 뜻하는 라틴어 cloqueare이다. 심장형으로 생긴 잎이 숟가락을 닮았다고 여긴 것에서 속 이름이 유래했다. 우리나라에 없는 두해 또는 여러해살이 냉이이다. 독일과 영국을 비롯한 북유럽 원산이고 스페인, 프랑스, 스위스 등의 귀화식물이다. 높이는 50 센티미터까지 이르고 잎은, 전술한 대로, 심장형이다. 5~8월에 작은 흰 꽃이 핀다. 숟가락 냉이속의 이름을 따라 '숟가락냉이'라고 명명해 보았다. 숟가락 냉이는 비타민 C가 풍부해 예부터 괴혈병(scurvy, 스페인어 escorbuto) 치료하는 데 사용했다. 그래서 영어 명칭의 문자 그대로 뜻은 '괴혈병 풀 scurvy grass'이다. 십자화과 식물 중에 약효가 있는 식물은 부지기수이다. 네스의 이런 뜻풀이는 DRAE의 뜻풀이, "Hierba mediciaal de la familia de las crucíferas, 20 o 30 cm de altura, hojas acucharadas.... "의 앞쪽 일부를 번역한 것이다.
https://www.gbif.org/occurrence/4855419456
oruga 나도냉이 → 애벌레냉이, 로켓, 루꼴라, 루콜라, 아루굴라 Eruca vesicaria rocket, eruca, arugula, roquette, ruchetta, colewort, rucola, rucoli
우리나라에 없는 에루카(Eruca)속의 한해살이 냉이이다. 스페인, 모로코, 알제리가 원산이고 지중해 주변의 귀화식물이다. 고대 로마부터 약간 매운맛이 나는 잎을 샐러드나 다른 형태의 음식으로 섭취했다. 사실 시인 베르길리우스(Vergilo, 영어 Vergil 기원전 70~19)는 <Moretum 샐러드>란 장시에 "로켓은 죽었던 비너스(성욕)를 다시 일깨운다 et Venerem reuocans eruca morantem"이라고 했듯 건강에 좋은 음식이다.
oruga는 높이가 1 미터까지 이르고 가지를 많이 친다. 줄기와 가지에는 하얀 잔털이 있다. 아래쪽 잎은 결각이 심한 깃털형이고 위쪽의 잎은 결각이 없는 선형이다. 하얀 꽃에는 자주색 맥이 있다.
https://www.florandalucia.es/index.php/eruca-vesicaria-subsp-vesicaria
우리나라에 알려진 영어 이름, 로켓(rocket)이나 이탈리아어인 루꼴라(rucola)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스페인어의 '루꿀라(rúcula)'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에루카속의 명칭을 번역해 '애벌레냉이'라고 명명해 보았다. Eruca는 라틴어로 애벌레를 뜻하는데 로켓의 줄기가 애벌레처럼 부드럽거나 씨방주머니가 털이 난 애벌레 즉 모충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래서 '애벌레냉이'라는 가칭을 붙여 보았다.
oruga를 네스는 '나도냉이'(학명 Barbarea orthoceras)라고 했다. 나도냉이는 나도냉이속에 속하는 노란 꽃이 피는 냉이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몽골, 러시아 북중동부, 북미가 원산이고 스페인 등 유럽에는 자생하지 않는다. 대신 유럽에는 유럽 나도냉이(학명 Barbarea vulagris)가 있다. 유럽나도냉이는 스페인어로, DRAE에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hierba de Santa Bárbara이다.
rúcula 미등재 → 애벌레냉이, 로켓, 루꼴라, 루콜라, 아루굴라 Eruca vesicaria rocket, eruca, arugula, roquette, ruchetta, colewort, rucola, rucoli - 전술한 oruga의 동의어이다.
ruca 십자화과 식물 (봄에 꽃이 피고, 스페인의 중부 지방과 동부 지방에 있음, 꽃은 짙은 자줏빛이며 열매는 장각과(長角果) 모양임) → 애벌레냉이, 로켓, 루꼴라, 루콜라, 아루굴라 Eruca vesicaria rocket, eruca, arugula, roquette, ruchetta, colewort, rucola, rucoli - 전술한 oruga의 동의어이다.
alhuceña 알우세냐 (십자화과 일년생식물, 줄기는 곧고, 키는 약 3 데시미터이고, 잎은 길고, 흰 꽃이 핌, 식용) → 애벌레냉이, 로켓, 루꼴라, 루콜라, 아루굴라 Eruca vesicaria rocket, eruca, arugula, roquette, ruchetta, colewort, rucola, rucoli - 전술한 oruga의 동의어이다.
▶ alhuceña는 로켓/루콜라(Eruca vesicaria)이라는 페드리꼬 꼬리엔또의 책 <스페인어, 까딸루냐어에 아랍어.차용어 사전> 2008.
▶ 스페인왕립식물원 Anthos에 열거한 Eruca vesicaria의 여러 가지 스페인어 명칭 중 alhuceña, oruga, ruca
carraspique 미등재 → 서양말냉이 Iberis amara wild candytuft,rocket candytuft
서양말냉이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스페인을 비롯한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독일, 영국, 스위스가 원산이고 우리나라, 동유럽, 북유럽, 러시아, 인도, 이란, 북미와 남미 아르헨티나 남부 등의 귀화식물이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말냉이(학명 Thlaspi arvense, 말냉이도 유럽에서 귀화한 식물이다. 하지만 유럽말냉이 또는 서양말냉이라고 하지 않고 우리나라 토종처럼 '말냉이'라 한다.)를 닮아서 '서양말냉이'라고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되어 있다. 하지만, 서양 말을 숭배하는 한국인이라서 그런지 '이베리스'란 이름으로 불린다. 높이는 40 센티미터까지 자라고 잎은 주걱형이고 가장자리에 결각이 있다. 꽃은 6~8월에 총상꽃차례로 여러 개 같이 피는데 하얀색, 분홍색, 보라색이다. 네 꽃잎은 두 장씩 크기가 다르다. 안쪽 작은 것은 길이가 2~5 mm, 바깥쪽 큰 것은 길이가 5~8 mm이다.
▶서양말냉이 유튜브 이탈리아어
서양말냉이는 이베리스, 즉 이베리아반도, 스페인인데, 사실 지중해 지역과 서남아시아 원산이다. 브로콜리처럼 십자화과이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자라고....
mostaza silvestre 야생 겨자 → 들다닥냉이 Lepidium campestre field pepperwort, field peppercress
씨방이 다닥다닥 붙어 있거나 흔들면 다닥다닥 소리가 난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한 다닥냉이속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 냉이이다. 유럽이 원산이고 우리나라와 북미 등의 귀화식물이다. 높이는 60 센티미터에 이르며 전체에 털이 빽빽하다. 잎은 줄기를 감싸는 화살 모형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노란색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씨앗은 후추와 겨자 맛이 나는 양념으로 사용한다. 그래서 스페인어 이름이 'mostaza silvestre(야생 겨자)이고 영어 이름도 field pepperwort(야생 후추)이다. 스페인어와 영어의 mostaza와 pepper는 진정한 겨자나 후추가 아니라 겨자와 후추에 비유한 표현이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5834
'스페인어 >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뜻풀이 수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바질 alcino, 솔조개나물 pinillo, 개쓴박하 ortiga muerta - 꿀풀과 (1) | 2024.10.27 |
---|---|
십자화과(배추과) 식물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뜻풀이 수정 (3) (2) | 2024.10.26 |
십자화과(배추과) 식물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뜻풀이 수정 (1) (1) | 2024.10.22 |
국화과 식물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뜻풀이 수정 (3) (2) | 2024.10.18 |
국화과 식물 네이버 스페인어사전 뜻풀이 수정 (2) (0)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