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엣센스스페인어사전 오류21

저어새 espátula 주걱으로 저어 먹이를 잡는다 espátula[에스빠뚤라]는 주방 기구 주걱이나 물감 등을 펴는 주걱인데, 부리가 주걱처럼 넓적한 저어새를 뜻한다. 저어새는 물속에서 먹이를 찾을 때 주걱 모양의 부리를 이리저리 젓는 데서 유래한 말이지만 스페인어는 부리가 주걱을 닮았기 때문에  espátula라 한다. 프랑스어도 스페인어처럼 spatule blanch(문자 그대로, 흰 주걱)이라 하고, 영어로 부리가 숟가락 같다고 spoonbill이라 한다.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espátula를 '2. 여성 명사. 깃이 흰색이고 부리가 주걱 형태이고, 나무에 둥지를 짓고 많은 개체가 군집을 이루는 황새목의 조류'라고 정의했다. 저어새과(Threskiornithidae)의 저어새를 묘사한 것이다. 1번은 약사나 화가가 사용하는 주걱.. 2024. 3. 7.
황로 garcilla bueyera 소의 벌레를 잡아 먹는다 garcilla[가르시야]는 garza에 -la(축소 의미 접미사)가 결합한 낱말로, garza(왜가리)보다 작은 백로과의 황로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garcilla를 "왜가리와 유사하나 크기가 작은 조류"라고 간단하게 뜻을 새겼다.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은 '(백로보다 작은) 백로 비슷한 새'라고 오역했다. garza는 백로과의 왜가리이다. '백로'는 특정한 종의 이름이 아니라 백로과에 속한 모든 새를 가리키는 통칭이다. 스페인조류협회(SEO)의 스페인조류목록에 따르면 garciila란 이름으로 불리는 백로과의 조류는 3종이다. 이중 황로는 스페인의 텃새이고 우리나라의 여름 철새이고 나머지 두 종은 우리나라에 없다. 검은 글씨의 한국어 명칭은 국립생물자원.. 2024. 3. 7.
쇠백로 garceta común 청계천에도 스페인 발렌시아 논에도 garceta[가르세따}는 garza에 -eta(축소 의미 접미사)가 합성된 낱말로 garza(왜가리)보다 작은 백로과의 쇠백로를 뜻한다.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garceta를 " 왜가리와 유사하지만 왜가리보다 작고, 깃은 흰색이고 머리에 짧은 도가머리가 실과 같이 뻗어 나와 있고, 검은 부리는 길고 바르고, 목은 아주 가늘고, 위가 있는 부분에 가는 깃이 장식처럼 늘어져 있고, 부척(발가락과 정강이 뼈 사이)이 검은 다리가 긴 조류"라고 정의했다.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은 '작은 백로'라고 오역했다. '작은 백로'는 쇠백로를 설명하는 말이지 종의 명칭이 아니다. 접두어 '쇠'는 '작다'는 뜻이다. 쇠백로는 우리나라의 여름철새로 몸길이는 60 cm이다. 암수 형태나 색깔이 다르지.. 2024. 3. 5.
왜가리 garza 왝왝 운다고 왜가리 garza[가르사]는 사다새목 백로과의 조류 왜가리이다. 왜가리는 왝왝 운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인데, 스페인어 garza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아래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garza의 어원은 분명하지 않다(De or. inc. origen incierto)고 했다.*주 1.*주 1. Corominas에 따르면 garza는 켈트어 karkia에서 유래했다. karkia는 왜가리를 뜻하는 영국의 콘월어 kercheiz 또는 프랑스의 브리타뉴어 cherhit에 뿌리가 있다. '소녀'를 뜻하는 프랑스어 garce[가흐스]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왜가리 울음소리 - SEOhttps://seo.org/ave/garza-real/#DRAE는 garza를 "황새와 유사하지만 황새보다 작고, 다리.. 2024. 3. 5.
마도요, 중부리도요 zarapito 부리가 길다 zarapito[사라삐또]는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어 zarapico에서 유래한 낱말이다. zarapico는 불분명하나 cierra pico(부리를 다물어라)는 cerapico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는데, 부리가 긴 마도요와 중부리도요 등 마도요속의 도요를 뜻한다.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zarapito를 "크기가 수탉만 하고, 목이 길고, 가는 부리는 끝이 굽었고, 등은 갈색이고 꼬리가 시작되는 부분과 배는 희고, 갈대 사이를 걸어 다니며 곤충과 연체동물과 유충을 먹는 물가에 사는 섭금류"라고 정의했다.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은 '도요새의 일종'이라 했지만 스페인조류협회(SEO)의 스페인조류목록에 따르면 zarapito란 이름으로 불리는 도요는 3종이다. 이중에 마도요 zar.. 2024. 3. 4.
멧도요 becada 자고새 만한 크기라서 chocha perdiz becada[베까다]는 도요목 도욧과의 멧도요이다. 아래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이 정의했듯, '크기가 자고새(perdiz)만 하고, 부리가 가늘고 길고 바르고, 머리는 옆에서 누른 듯하고, 등은 검은 반점이 있는 홍갈색이고 아래는 밝은 색의 띠가 있고, 그늘진 곳을 선호하고, 모족류와 지렁이를 먹이로 하는 뻘이나 진흙에 사는 조류로, 고기는 가치가 매우 높다.' 크기가 자고새만 해서 다른 말로 chocha perdiz, chochaperdiz라고 한다.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은 becada를 누른도요로 오역했다. 도욧과의 종은 대개 누런색이라 '누른도요'는 특정한 종의 이름으로 적절하지 않다. becada의 한국어 명칭은 국립생물자원관이 밝힌 대로 '멧도요'이다. 유럽자고새(perd.. 2024.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