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인어/네이버 스페인어사전 뜻풀이 수정

유럽큰터리풀 reina de los prados 장미과 터리풀속

by brasero 2024. 11. 24.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에 장미과(Rosaceae) 터리풀속 식물 reina de los prados의 뜻풀이를 수정했다. 이 낱말은 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DRAE)에 등재된 것이다. 학명과 명칭을 위해서 한국 국립생물자원관, 표준국어대사전, 스페인왕립식물원 Anthos, 이베리아식물(Flora Iberica), 안달루시아식물(Florandalucia), 영국왕립식물원 Kew,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세계식물목록(The Plant List), 위키백과 등을 참조했다.

스페인어 명칭, 네스 뜻풀이 → 뜻풀이 수정, 학명, 영어 명칭(영어 명칭 직역)

reina de los prados, ulmaria 석잠풀 → 유럽큰터리풀 Filipendula ulmaria meadowsweet(초원의 달콤함), queen of meadow(초원의 여왕)

기다란 꽃자루 끝에 달린 작고 하얀  꽃 뭉치가 먼지떨이를 닮아 터리풀이라고 하는데, 유럽큰터리풀은 북한 등 북방에 자생하는 큰터리풀(학명 Filipendula camtschatica) 만큼 커서 높이가 130~200 cm에 이른다.줄기는 밝은 녹색이나 붉은색이고 털이 없고 옆으로 뻗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기도 하고 마주나기도 하는데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다. 줄기 끝에는 북한의 큰터리풀의 잎처럼 손바닥 모양으로 3~5 갈래 열편으로 갈라진다. 이 잎의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없거나 흰 솜털이 밀생한다(tomentoso). 줄기 아래쪽 잎들은 피침형이거나 달걀 모양으로 크다. 위쪽의 잎은 작다. 꽃은 취산형 산방꽃차례로 피고 꽃자루는 우리나라(북한)의 큰터리풀처럼 털이 있다. 꽃은 향기가 좋고 흰색이다. 열매는 수과(aquenios, 1개의 씨방실에 1 개의 씨방, 익어도 열리지 않음.)에는 큰터리풀의 열매처럼 융털(길고 부드러운 엉키지 않은 털)이 없다. 스페인을 비롯한 유럽과 아시아의 아프가니스탄, 몽골, 중국의 신장이 원산이다. 

☞유럽의 유럽큰터리풀 -GBIF https://www.gbif.org/es/occurrence/gallery?continent=EUROPE&taxon_key=2987999

우크라이나, 사진 영국국립식물원
사진 iNaturalist, 독일, Katrin Simon
사진 iNaturalist, 영국, Susan Marley
사진 iNaturalist, 스풰덴,  johanneslekman

☞북해도의 큰터리풀- 여왕벌이 사는 집

 

북해도식물 - 큰터리풀(장미과 터리풀속) Filipendula camtschatica (Pall.) Maxim.

2023. 7. 11. 아사히다케 아래 습지. 역시 큰터리풀이 틀림 없다. 잎이 손바닥 보다 더 크고 탁엽이 아주 크게 발달해 있다.높이가 내 키를 넘어 섰다   터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4    

qweenbee.tistory.com

DRAE는 reina de los prados를 "줄기는 높이가  60~80 cm이고 잎은 어긋나고 크기가 다른 달걀 모양으로 갈라져 있고, 뒷면은 희고 솜털이 밀생하고, 줄기 끝의 잎은 크고 3 갈래 열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꽃은 산방꽃차례로 흰색 또는 분홍색이다.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뿌리는 강장제와 해열제로 쓴다"라고 뜻을 풀이했다. 

ulmaria는 reina de los prados의 동의어이다.

reina de los prados는 영어 이름 queen of meadow(초원의 여왕)와 같은 개념의 표현인데, 영어가 먼저인지 스페인어가 원조인지는 더 조사가 필요하다. 아무튼 영어의 '초원의 여왕' 즉 유럽큰터리풀은 meadowsweet(문자 그대로 뜻, 초원의 달콤함)이라고도 한다. meadowsweet는 '초원의 달콤한 풀(sweet plant of meadow)'란 뜻이 아니라 미드(mead)라는 벌꿀 술을 만들 때 단맛을 내는 데 이 풀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15세기에는 명칭이 meadsweet였는데 오늘날 와전되어 meadowsweet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큰터리풀의 잎과 열매의 모양과 다르지만 높이가 유사하기 때문에 '유럽큰터리풀'이라고 명명해 보았다. 

네스는 reina de los prados와 ulmaria를 석잠풀로 오역했다. 석잠풀은 장미과가 아니라 꿀풀과에 속한 식물로 덩이뿌리가 돌처럼 단단하고 누에를 닮았기 때문에 명칭이 유래한 풀로 유럽석잠풀은 스페인어로 betónica라고 한다. 네스는 betónica를 '배초향'으로 오역했다. 배초향은 꿀풀과에 속하며 '방아잎'이라도 하는데, 스페인어로 menta coreana(문자 그대로 뜻, 한국의 박하, 영어 Korean mint)이다. 

☞유럽석잠풀 -  https://ligerodequipaje.tistory.com/869

유럽석잠풀, 사진 위키백과

서울대 스페인어사전(서스)은 영어 이름 meadowsweet를 소리 나는 대로 옮겨 '메도스위트'라고 하며 "조팝나무속"이라고 했다. 유럽큰터리풀 reina de los prados는 장미과 터리풀속(Filipendula)에 속하지, 같은 과의 조팝나무속(Spiraea)의 종이 아니다.  

네스와 서스가 풀이한 reina de los prados와 betónica의 뜻은 아래 표로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