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스페인과 한국의 스라소니 lince lince[린세]는 고양잇과의 동물 스라소니이다. lince란 낱말은 '빛'이란 뜻의 그리스어 λύγξ에 기원이 있는 라틴어 lynx에서 유래했다. 스라소니의 눈이 번쩍이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DRAE(스페인왕립학술원 스페인어사전)은 lince를 "불그스름한 털에 검은 얼룩이 있고, 꼬리가 짧고, 뾰족한 귀에는 검은 털이 있는 고양잇과 포유류"라고 정의했다. 귀의 털은 안테나 같은 역할을 해서 토끼 같은 먹이를 쉽게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스라소니는 눈빛이 날카롭기 때문에 비유적으로 2번의 눈매가 매섭거나 날카로운 사람이나 3번처럼 기민하고 재빠른 사람을 뜻한다. 네이버 스페인어사전과  엣센스 서한사전은 lince를 '살쾡이(삵)'으로 오역했다.한편, 네이버 스페인어사전과 엣센스 한서사전은 스라소니를.. 2024. 3. 31.
스페인 들고양이 gato montés, gato silvestre, gato salvaje gato montés[가또 몬떼스]는 문자 그대로 '고양이 산들'인데 들고양이(학명 Felis silvestris)이다. 집에 키우는 집고양이(gato doméstico)가 가출해 산이나 들에서 야생화된 길고양이(gato cimarrón)인 들고양이가 아니라 야생 고양이 종이다. 들고양이 Felis silvetris / gato montés, gato silvestre, gato salvaje / wildcat길고양이, 야생화된 집고양이 Felis silvestris catus / gato cimarrón, gato callejero, gato feral, gato asilvestrado / feral cat, stray cat, street cat, alley cat, community cat, fre.. 2024. 3. 30.
삵, 스라소니, 들고양이, 오실롯, 카라칼, 서벌 삵(살쾡이)과 스라소니는 혼동할 필요가 없는 고양잇과 동물인데 종종 헷갈려한다.  또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에 서식하는 삵을 유럽에 서식하는 야생 고양이인 들고양이와 구분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카라칼과 아메리카에 서식하는 호랑고양이속의 오실롯, 마게이, 콜로콜로와 아프리카의 서벌 등이 추가되면 복잡해진다.혼란을 주는 삵, 스라소니, 들고양이, 오실롯, 카라칼, 서벌의 차이점을 간략하게 알아보며 영어 명칭을 제시하고 네이버(엣센스) 스페인어사전(엣스)의  명칭 오역 또는 오류를 바로잡는다 살쾡이라고도 하는 삵은 고양잇과 삵속에 속하며 스라소니 속의 스라소니보다 작은 육식동물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삵은 시베리아와 동남아에도 서식한다. 살쾡이(학명 Prionailuru.. 2020. 10. 7.